애터미파크 소개
준공 개요

-
- 위치
- 충남 공주시 백제문화로 2148-21 (웅진동)
-
- 대지면적
- 26430㎡
-
- 건축면적
- 5200.39㎡
-
- 연면적
- 9722.16㎡
-
- 규모
- 지상4층, 지하1층
-
- 구조
- 철근콘크리트구조
-
- 외부 마감
- 박판타일, 노출콘크리트, 백색고벽돌
-
- 설계기간
- 2016. 08 ~ 2017. 06
-
- 시공기간
- 2017. 02 ~ 2019. 04
수상 내역
-
2019 한국건축가협회상 수상
-
2019 Architecture Masterprize (Mixed Use Architecture부문) 수상 (미국)
준공 영상
New Office Innovation


기존 오피스의 공간을 탈피하여 주체적인 선택에 의한 다양한 장소에서의 접속을 통한 유연한 업무 조직 체계에서의 내밀적, 자생적 관계를 생성하는 새로운 오피스 구축
일과 삶의 경계 허물기
-
업무 효율성만을 고려한
뷰로크라시 (Bureaucracy)식
구성체계 -
단순 나열된 뷰로크라시
(Bureaucracy) -
업무 효율성만을 위한 뷰로크라시적 조직 구조에서 벗어나, 개인 업무와 협력 업무를 포괄하는 영역으로서 WORK와 LIFE의 자연스러운 연계를 유도하는 유연한 커뮤니티 형성
Offi – Ludens 오피-루덴스
놀이하는 공간, 유희하는 오피스
'놀이하는 인간', '유희하는 인간'이라는 뜻으로, 요한 호이징하가 1938년
출간한 저서의 이름에서 유래. 놀이가 문화의 한 요소가 아니라, 문화 그 자체가
놀이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호모 사피엔스 이래 가장 놀라운 인간형의 발견이
'호모 루덴스'다. 이들에게 모든 문화는 놀이에서 시작한다.
삶과 놀이의 구분없는 '놀이하는 인간'이다.
한국인들은 전형적인 호모-루덴스다.
조흥윤은 "한국 민중의 놀이는 일과 대비되거나 구분되는 개념으로서의 놀이가 아니다.
그것은 일과 여가 소에서 그것들과 함께 얽히고 어우러져 즐겨지던 삶의 표현이며,
진정한 워라밸(work-life-balance)은 노동시간을 줄이는게 아니라 일의 재미와 의미를
회복하는 운동"이라 말한다.
'나는 논다. 고로 존재한다.'
호모 루덴스들이 모인 오피스는 그들에게 업무는 또 다른 형태의 놀이이다.
일과 놀이의 구분이 없는 유동적 업무환경을 통해, 그들 스스로 일과 놀이의 균형을
맞출 수 있는 자생적인 오피스 환경이 필요하다.

놀이하는 공간, 유희하는 오피스
-
01 Nomadic Work Piece 유목적 업무 조각 -
02 Carte Blanche 행위유발 캔버스 -
03 Non-routine Promenade 비-일상의 프롬나드
오피-루덴스에 구성원들은 애드호크라시적 조직체계에 맞게 수직적 분화보다는 수평적 관계 형성에 있어서 다양한 형태의 만남이 가능한 놀이하는 공간, 유희하는 오피스를 구축한다. 예측불가능 하고 이질적인 요소가 병존하는 업무 환경을 부여하여 구성원들로 하여금 동태적인 업무 방식을 자연스럽게 유도, 이를 통해 일과 놀이의 경계를 허물어 좀 더 효율적인 유기적 구조를 만든다.
유목적 업무 조각 Nomadic Work Piece
다양한 업무활동에 맞춰, 개별적 특수성이 생성되는 업무 조각들
다층적 공간 속에 자유롭게 흩뿌려진 업무 조각들은 각자의 업무 스타일에 맞춰
유연한 자생적 관계가 만들어지는 공간을 통해 자연스러운 탈위계적 조직 분업을 유도한다.




행위유발 캔버스 Carte Blanche
사용자 중심의 자생적 활동이 만들어지는 행위유발 캔버스
Carte Blanche란 '백지수표'라는 뜻으로, 무엇이든 될 수 있는 무한한
가능성을 가진 백지 상태 그 위에 무엇이 적히느냐에 따라, 즉 사용자 중심의
자발적 활동에 따라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창의적 업무활동의 장을 말한다.




비-일상의 프롬나드 Non-routine Promenade
일상 속 산책을 통한 연속적 경험과, 우연성을 가진 공간들의 비일상적 충돌 유도
지루한 일상에서 벗어나 다양한 이벤트들을 끊임없이 생성하여
반복되는 일상을 탈피하는 비일상적인 새로운 업무 공간들의 연속 체계를 말한다.




건축가 김동진 프랑스 건축사 / 홍익대학교 건축공학부 교수 / (주)로 건축사사무소, (주)로 디자인 도시환경건축연구소 대표